건설사업에서 중요한 요소인 흙막이 공법. 흙막이 공법을 어떤 것을 선택하냐에 따라서 공사할 수 있는 범위, 속도, 금액이 차이가 납니다. 인허가 이후 공법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초기 단계 검토에서 공법 선택을 신중하게 해야 할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개략적인 흙막이 벽체 공법의 종류와 장단점, 특징을 알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2. 흙막이 공법의 종류 및 특징
1) CIP
(1) CIP 정의
CIP는 천공기계로 소정의 깊이까지 천공한 후 H형강 및 철근 삽입 후 콘크리트를 타설 하여 현장타설 말뚝을 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2) CIP의 장점
(3) CIP의 단점
(4) CIP의 활용성
주열식 강성 벽체로 벽체 강성이 우수하여 인접 구조물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주로 도심지 공사에 적용됩니다.
2) H-Pile + 토류판
(1) H-Pile + 토류판 공법 정의
천공하여 H형강을 삽입한 후 굴착하면서 노출면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공법입니다.
(2) H-Pile + 토류판의 장점
(3) H-Pile + 토류판의 단점
(4) H-Pile + 토류판의 활용성
저렴한 비용으로 공사 필요시 적용하며, 도심지에서는 선호되는 공법은 아닙니다. 소규모 건물 굴착공사시 활용됩니다.
(1) 2열 자립식 흙막이 공법 정의
전열과 후열 말뚝을 강재 및 강봉으로 연결하여 삼각형 또는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여 지지하는 공법입니다.
(2) 2열 자립식 흙막이 공법의 장점
(3) 2열 자립식 흙막이 공법의 단점
(4) 2열 자립식 흙막이 공법의 활용성
부지가 넓어 지보재 설치 시 가설재 소요량이 많을 때 적용성 좋음. 다만, 공기라던가 금액이 다른 공법보다는 비싼 점 염두. 공사구역도 좁아지기 때문에 대지 활용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음.
(1) 슬러리월 공법 정의
지반 굴착시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 붕괴를 방지하면서 굴착 후, 그 속에 철근망을 넣고 콘크리트 타설 하여 연속벽을 만드는 공법입니다.
(2) 슬러리월 공법의 장점
(3) 슬러리월 공법의 단점
(4) 슬러리월 공법의 활용성
규모 있는 도심지 공사의 경우 슬러리월 공법을 범용적으로 사용함.
흙막이 공법은 부지의 특성과 주변 환경에 따라서 적정한 공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기본 설계 단계에서 해당 개념을 인지하고 검토를 하여야 토목공사 금액 절감이 가능합니다. 부적절한 공법으로 인허가를 진행해 버리면 수정하는데 수개월이 들뿐만 아니라, 공사비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초기에 적정한 공법 적용을 하면 공사비를 몇억~몇백억을 아낄 수 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 판단합니다.